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DeFi] Mirror에서 Mirror token Staking 하기
    블록체인 2021. 2. 4. 22:57

    실전 디파이 두 번째, 이번에는 Mirror에서 Mirror token(MIR)을 스테이킹 해보자.

    Mirror token은 Terra 재단에서 만든 DEX인 Mirror에서 사용되는 거버넌스 토큰이다.

    Mirror에서는 미국 주식을 추종하는 mAsset을 거래할 수 있고, 다른 DEX와 마찬가지로 내가 유동성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번에 게임스탑 사태 등으로 인해 거래량이 상당히 많이 늘었다고 한다.

     

    Mirror와 다른 DEX와의 차이는 무엇일까?

     우선 기반 블록체인이 다르다. 유니스왑, 스시스왑과 같은 대부분의 DEX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동작하지만 Mirror은 테라 네트워크에서 동작한다.

     Terra는 Cosmos SDK를 기반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텐더민트 합의 알고리즘으로 동작하고, 기본적으로 이더리움보다 블록 생성속도가 빠르고 수수료도 저렴하다. 블록체인 코어까지 다루는 엔지니어라면 여려가지 측면에서 더 분석해볼게 많겠지만, DeFi 서비스를 이용해보고 싶은 사람 입장에서는 확실히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Mirror을 이용하기 위해 UST(1달러에 pegging된 Terra token) 또는 Mirror Token(MIR)를 구해야한다. 이 두 토큰을 구하는 방법은 뭐 여러가지 있는데 코인원 거래소에서 KRT(1원에 pegging된 Terra token)을 이용해서 MIR까지 구매해보는 방법을 사용해보겠다.

     먼저 알아둬야 할 점은, MIR 토큰은 2종류가 있다.. 개인적으로 블록체인 서비스의 단점이라고 생각하는 점이, 블록체인 종류도 굉장히 많고, 또 토큰도 유틸리티 토큰이네 NFT 토큰이네 복잡해서 공부해야 할게 굉장히 많다는 점이다. 나도 나름 몇년 블록체인 공부하면서 이런 저런 서비스도 이용해봤는데 가끔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ㅠㅠ

     MIR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erc20 MIR 토큰과, Terra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MIR토큰이 있다. 이 두개가 서로 다른데, 코인원에서 구매할 수 있는 MIR 토큰은 erc20 토큰, 즉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큰이다. 코인원 MIR 지갑에도 언급하고 있는데, 출금할 때 꼭 이더리움 지갑으로만 출금해야 한다. 안그러고 Terra 지갑 주소를 넣으면 내 돈이 없어질 수도 있다. (반대로 Terra 지갑에서 코인원 지갑으로 송금할때는 Terra MIR token을 erc20 MIR token으로 바꿔주는 작업을 진행해준다. 친절쓰...)

     그래서 나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통해 Terra MIR token을 얻어보려고 한다.

    • 1. 코인원에서 KRT를 구매한다.
    • 2. 구매한 KRT를 내 Terra 지갑으로 보낸다.
    • 3. Terra station에서 KRT를 UST로 환전한다.
    • 4. 이렇게 얻은 UST를 Mirror에서 MIR 토큰으로 swap한다.

     굉장히 복잡하지만 의지를 갖고 한번 따라해보자..

     

    코인원에서 KRT를 구매한다.

     먼저 Terra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여러 나라 화폐 가치에 고정된(페깅됐다고 얘기함) 코인을 말한다. 이런 코인을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이라고 하고 대표적으로 Tether, DAI 등이 있다.

     이런 코인을 보고 드는 생각은 어떻게 가치를 유지할까? 인데, 일단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코인마다 방법이 다 다르고, 각자의 방법으로 수요와 공급을 조절한다..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궁금하신 분들은 제가 활동하고 있는 학회인 디사이퍼에서 발행한 아티클(https://medium.com/decipher-media/terra-stablecoin-ac465cabc65e)을 읽어보세요~

     어쨋든 KRT의 가격을 보면 1KRT에 0.998원, 거의 1원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풀매수ㄱㄱㄱ
    그리고 만약 테라 지갑이 없다면, https://station.terra.money/ 에서 지갑을 만들 수 있다. 처음에 20개의 단어(니모닉)을 주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지갑을 복구할 수 있으니 꼭 소중히 간직하도록 하자. (누가 보여달라 그러면 그건 피싱이니 절대 비밀로 해야한다.)

     

    그리고 내 테라 지갑으로 전송한다.

     

     

     테라 네트워크는 컨펌 속도가 매우 빨라서 거의 1분도 안돼서 내 지갑에 KRT가 입금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테라 스테이션 내의 Wallet 메뉴에 들어가보면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KRT에 정상적으로 입금된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은 KRT를 UST로 스왑하는 과정이다. 아직은 KRT를 직접적으로 MIR로 바꿀 수는 없는 것 같고, UST를 이용해야 한다. 왼쪽의 Swap 메뉴에 들어가서 KRT를 UST로 바꿔주자. (원화를 달러로 환전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대충 동전 단위는 두고 천원 단위로 환전하면 수수료를 남겨놓을 수 있어서 보통 그렇게 한다.

     

     

     그 다음 아까와 같이 Swap 탭에서 UST -> MIR로 바꿔준다.

     

    UST -> MIR로 변경하는 과정

     

     

    약 160 MIR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Mirror으로 가서 MIR 토큰을 스테이킹해보자.
    Mirror는 https://terra.mirror.finance/로 접속하면 된다.

     

    아래에 보면 mTSLA와 같이 테슬라 주가를 따라가는 토큰들이 있는데 이런것들을 mAsset이라고 부른다.

     

     Mirror에서는 미국 주식 가격을 추종하는 mAsset이라는 토큰들을 거래할 수 있다. 그리고 저번에 스시스왑에서 한 것처럼 각 토큰 풀에 유동성 공급을 통해 이자 농사를 지을 수도 있다. 이런 mAsset 생태계를 통틀어서 Mirror Protocol이라고 부르고, 백서에 보면 주식 뿐만 아니라 부동산과 같은 다양한 실물 자산들을 토큰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나중에 mAsset으로 부동산 투자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오늘의 목표는 MIR 토큰을 스테이킹 하는 것이니, 상단의 Governance 탭으로 들어가자.

    각 탭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Trade는 mAsset을 거래할 수 있는 탭이고, Mint는 담보를 맡겨서 mAsset을 발행할 수 있는 탭이다. Pool은 LP를 위한 Pool 목록을 보여주고, Stake는 LP 토큰을 스테이킹 할 수 있는 탭이다. Governance는 MIR를 스테이킹 하거나, Mirror 생태계에 도움이 되는 안건을 제안하고 투표할 수 있는 탭이다.

     왜 MIR를 거버넌스(Governance) 토큰이라고 할까? Governance 탭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냐면, 새로운 mAsset을 상장하거나 Commission fee를 변경하는 등 Mirror 생태계에 여러 변화를 제안하고, 투표할 수 있다. 이 활동에 참여하려면 MIR 토큰을 스테이킹 해야하기 때문에, Governance 토큰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하단의 안건과 투표 상황은 관심있으면 구경해보고, 우리의 목표는 MIR 토큰이다.

     

     다른 기능들도 추후 포스트로 다뤄보려고 하고, 나는 우선 MIR 토큰을 스테이킹 할 것이기 때문에 상단의 STAKE 버튼을 눌러 스테이킹 해보겠다. 현재 스테이킹으로 연 87.8% 이율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현실 세계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수익률이다 -_-;

     

    MAX 버튼을 눌러서 최대한 스테이킹 하던지, 아니면 일부만 해도 무관하다.

     

     MAX 버튼을 눌러서 전체를 스테이킹 해보자. STAKE 버튼을 누르면 Terra Chrome Extension이 나오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스테이킹 할 수 있다. 트랜잭션 수수료도 0.001달러(거의 10원)로 이더리움 Gas fee에 비해 매우 저렴한 것을 알 수 있다.

     

    성공!

     

     마이페이지를 눌러서 내 스테이킹 현황도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다.

     

    총 802미러 정도를 스테이킹 했고, 보상으로 받는 MIR는 자동으로 re-stake 된다고 나와있다.

     

     연 수익률이 꽤 높은편이기 때문에 한번 투자해볼만 한 것 같다. 또한 최근에 주식판에 여러 이슈 때문에 Mirror Protocol이 해외에서 나름 핫하다고도 하고, 이더리움의 Gas fee가 아깝다면, 다른 블록체인에서도 여러 Defi 플랫폼들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한번 사용해보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매일 새로고침을 눌러보며 불어나는 Mirror를 보며 다같이 MIR 떡상을 외쳐보즈아!!!

     마지막 질문, 그러면 MIR는 도대체 어떻게 이렇게 높은 수익률을 주는 것일까? 이 답은 DEX 마다 조금씩 다르긴 한데 대체적으로 비슷하다. 간단하게는 Mirror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나눠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거래소마다 비교해서 공부해보고 포스팅하려고 한다.

     

    [ 수정 ]

    제가 Mirror dex를 아무 생각없이 Terraswap으로 썼었네요. 잘못 작성해서 Mirror로 전부 수정했습니다.
    댓글 남겨주신 bryan님께 감사드립니다! 더불어서 저도 가끔 terraswap을 이용하는데, 다음 링크에서 여러분도 이용할 수 있어요!

    https://app.terraswap.io/

     

    Terraswap

     

    app.terraswap.io

     테라스왑에서는 terra, luna, 특히 요새 앵커나오면서 같이 출시된 bLuna를 스왑할 수 있습니다. 초반에 bLuna가 가격이 luna에 비해 싸졌던적이 있는데 이 때 소량 스왑을...해봤었죠^^;

    댓글

Designed by Tistory.